메뉴건너뛰고 본문으로가기
서울캠퍼스
의료원
LOGIN
PORTAL
uDRIMS
E-CLASS
E-MAIL
구글메일
SITEMAP
LANGUAGE
ENGLISH
검색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대학안내
대학안내
DONGGUK UNIVERSITY
열린캠퍼스총장실
인사말
현장스케치
인터뷰/연설문
캠퍼스경영리포트
캠퍼스 소개
건학이념
교훈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동국 참사람 핵심역량
연혁
대학상징
발전계획 비전 체계
특성화 계획 비전 체계
학교현황
규정 제ㆍ개정 공지
대학기구
정보공시 및 통계
예결산공고
정부지원사업
대학자체평가
등록금심의위원회
캠퍼스안내
찾아오시는길
캠퍼스맵
캠퍼스둘러보기
교내전화번호
홍보관
변화하는 동국
언론에 비친동국
웹 뉴스레터
홍보영상
카드뉴스
동국갤러리
캠퍼스영상
학생홍보대사 동행
자랑스러운 동국인
입학안내
입학안내
DONGGUK UNIVERSITY
학부입학
학부입학
외국인 입학
대학원 입학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불교문화대학원
사회과학대학원
경영대학원
평생교육 입학
평생교육원
생태교육원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DONGGUK UNIVERSITY
대학
불교문화대학
불교학부
불교학전공
불교문화콘텐츠전공
명상심리상담학과
인문대학
웹문예학과
인문콘텐츠학부
국사학전공
고고미술사학전공
글로벌어문학부
영어영문학전공
일어일문학전공
중어중문학전공
디자인미술학과
스포츠건강과학부
스포츠과학전공
스포츠의학전공
과학기술대학
바이오제약공학과
창의융합공학부
전자·정보통신공학전공
에너지·전기공학전공
기계시스템공학전공
스마트안전공학부
안전보건전공
소방방재전공
컴퓨터공학과
조경ㆍ정원디자인학부
조경전공
정원디자인전공
사회대학
행정·경찰공공학부
공공행정학전공
경찰행정학전공
사회복지학과
아동청소년교육학과
상경대학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회계세무학전공
정보경영학전공
항공서비스무역학과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호텔관광경영학전공
조리외식경영학전공
사범교육대학
유아교육과
가정교육과
수학교육과
간호대학
간호학과
보건의료정보학과
뷰티메디컬학과
한의과대학
한의예과ㆍ한의학과
의과대학
의예과ㆍ의학과
파라미타칼리지
자유전공학부
교육기관
평생교육원
생태교육원
대학[2023학년도~]
불교문화대학
불교학부
불교학전공
불교문화콘텐츠전공
명상심리상담학과
스마트시티융합대학
고고미술사학과
디자인미술학과
바이오제약공학과
창의융합공학부
전자ㆍ정보통신공학과
에너지ㆍ전기공학과
자동차소재부품공학과
스마트안전공학부
안전보건전공
소방방재전공
컴퓨터공학과
조경ㆍ정원디자인학부
조경전공
정원디자인전공
항공서비스무역학과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호텔관광경영학전공
조리외식경영학전공
글로벌사회경영대학
글로벌어문학부
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중어중문학과
행정ㆍ경찰공공학부
공공행정학전공
경찰행정학전공
사회복지학과
아동청소년교육학과
융합경영학부
경영학과
회계세무학과
정보경영학과
간호대학
간호학과
보건의료정보학과
뷰티메디컬학과
스포츠건강과학부
스포츠과학전공
스포츠의학전공
한의과대학
한의예과ㆍ한의학과
의과대학
의예과ㆍ의학과
인문콘텐츠학부
웹문예학과
국사학과
사범교육학부
유아교육과
가정교육과
수학교육과
자유전공학부
대학[~2021학년도]
대학원
일반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교육대학원
불교문화대학원
사회과학대학원
경영대학원
취업
취업
DONGGUK UNIVERSITY
교무학생처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현장실습지원센터
학생CS센터
참사람사회공헌센터
학생상담센터
장애학생지원센터
인권센터
학생경력관리시스템
학사/장학
학사/장학
DONGGUK UNIVERSITY
학사
학사/규칙
학사일정
수강/졸업
시간표 및 강의계획서
강의평가 및 공개제도
등록
문서양식함
무단결강신고센터
재입학상시접수센터
전자출결 매뉴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국내 타대학 학점교류
학습지원
교수학습개발센터
E-CLASS
RC교육센터
의사소통교육부
장학
국가장학
교내장학금 안내
교외장학
일반대학원장학
학자금대출
봉사
참사람봉사단
생활
생활
DONGGUK UNIVERSITY
학생활동 및 단체
학생자치기구
동아리
학내언론사
병사/학군단
학생CS센터
학생CS센터
학생증발급
증명서발급
분실물센터
서비스
문의/불편사항접수
학생복지서비스
학생상해보험
통학버스
셔틀버스
의료/보건서비스
장애학생지원
편의시설안내
금장생활관(기숙사)
복지시설
학교기념품
식당과매점
인쇄/복사
여학생 휴게실
장애인 복지시설
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관리 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정보공개
비공개대상정보 세부기준
국제/교류
국제/교류
DONGGUK UNIVERSITY
캠퍼스국제화
국제교류처소개
국제화비전
동국국제화역량인증제
국제교류
해외자매대학
해외교환학생
해외복수학위
해외봉사
해외인턴
해외취업
외국인유학생
유학생입학
유학생지원
유학생교육
연구/산학
커뮤니티
커뮤니티
DONGGUK UNIVERSITY
공지사항
일반
학사
교직
입학
취업프로그램
채용공고
장학/봉사
입찰
기금
청탁금지법/ 공익신고
청탁금지법
공익신고
아이디어 제안
공지사항
제안신청
CS광장
e민원안내
Q & A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주거정보
주거정보
알뜰장터
알뜰장터
아르바이트
아르바이트
대학소개
캠퍼스 소개
연혁
1906년
인사말
현장스케치
인터뷰/연설문
캠퍼스경영리포트
건학이념
교훈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동국 참사람 핵심역량
연혁
대학상징
발전계획 비전 체계
특성화 계획 비전 체계
규정 제ㆍ개정 공지
대학기구
정보공시 및 통계
예결산공고
정부지원사업
대학자체평가
등록금심의위원회
찾아오시는길
캠퍼스맵
캠퍼스둘러보기
교내전화번호
변화하는 동국
언론에 비친 동국
홍보영상
카드뉴스
동국갤러리
캠퍼스영상
학생홍보대사 '동행'
자랑스러운 동국인
1906.05.08
불교계의 선각자들이 구 한국정부의 허가를 얻어 신교육을 위한 중앙교육기관으로서 당시의 원흥사(구 창신국민학교 위치)에 전문학교정도의 明進學敎를 설립 개교하다.
1910.04
명진학교를 佛敎師範學敎로 변경하다.
1914.07
제3회 30본사주지총회 결의로 불교사범학교를 佛敎高等講熟(일명 불교고등학교) 으로 변경하다.
1915.11.05
한국불교31본산 연합사무소에서 불교고등강숙을 中央學林으로 개칭하고 구 북관왕묘지(명륜동1번지)로 이전하다.
1919.09.30
중앙학림이 3.1운동을 주도한 사유로 일제에 의해 강제 폐교되다.
1922.12.30
전국31본산(本山)주지대표 당시 金龍寺 주지 金慧翁외 26명이 불교종단의 중앙기관으로서 재단법인 조선불교중앙교무원(수송동 82번지)을 설립할 것과 중앙학림을 재건할 것을 결의하다.
1924.03.27
전국사찰에서 601,425 圓을 기부하여 재단법인 조선불교 중앙교무원을 설립함으로써 사학재단을 확립하다.
1927.07.11
법인주소를 수송동 44번지로 옮기다.
1927.10.21
명륜동 1번지 중앙학림자리에 2층 洋館 벽돌교사 251평을 신축하다.
1928.03.01
佛敎專修學校 설립허가를 얻어 동년 4월 30일에 개교하다.
1929.03.01
전국사찰에서 400,000원을 증자하다.
1930.04.07
불교전수학교를 中央佛敎專門學校로 승격 개편하다.
1940.02.06
재단법인 조선불교중앙교무원을 재단법인 曹溪學院으로 개칭하다.
1940.06.19
중앙불교전문학교를 惠化專門學校로 개칭하고 佛敎科∙興亞科를 설치하다
1944.05
세계 제2차 대전 말기 일제의 학교정비에 따라 혜화전문학교가 강제폐교되다.
1945.10.27
조국광복과 더불어 혜화전문학교를 개교하다.
1946.09.20
문교부로부터 인가받아 혜화전문학교를 東國大學으로 승격개편하고 문학부를 신설하여 불교학과∙국문학과∙영문학과∙사학과를 설치 편성하고 주∙야간 전문부를 두다.
1947.09
정경학부를 신설하고 정치학과∙경제학과를 증설편성하다. 대학본부를 명륜동에서 중구 필동3가 26번지로 이전하다.
1949.03
동대신문을 창간하다.
1919.04
정경학부에 법학과를 신설하다.
1949.11.08
재단법인 조계학원을 재단법인 東國學院으로 개칭하고 30본사 사찰임야 16,310 정보를 불교종단 중앙불교교무원으로 부터 기부 받다.
1950.05
전문부를 폐지하다.
1951.09
6∙25사변 1.4후퇴로 인하여 부산시 신창동 임시 교사에서 개강하다.
1951.12.31
교육법시행에 따르는 대학개편이 인가되어 문학부∙정경학부 외에 임학과를 신설하다.
1952.05
경기도 양주군 구리읍 묵동 소재 토지 32,519평을 매입하여 농림대학 실험농장으로 지정하다.
1953.02.06
동국대학을 종합대학교 東國大學校로 승격 개편하고, 불교대학(불교학과∙철학과) 문과대학(국어국문학과∙영어영문학과∙사학과) 법정대학(법학과∙정치학과∙경제학과) 농림대학(농학과∙임학과) 대학원(석사학위과정 : 불교학과∙영문학과∙정치학과 개설)을 신설하다.
1953.07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진중리 소재 재단 소유림 220 정보를 농림대학의 연습림으로 지정하다.
1953.09
부산에서 서울 本校舍로 복교하여 10월 개강하다.
1954.02.01
문과대학을 문리과대학으로 개편하고 이학부에 수학과∙물리학과∙화학과∙생물학과를 신설하다.
1954.03.27
대학원에 석사학위과정 국문학과∙사학과∙법학과∙경제학과를 증설하다.
1956.03
명진관을 착공하다.
1956.06.15
대학원 박사학위과정을 신설 불교학과∙영문학과를 개설하다.
1956.10.25
인쇄공장을 설치하다.
1956.12.30
명진관(석조관)3층 1,462.4평을 준공하다.
1957.04.01
대학원 박사학위과정에 국문학과∙정치학과∙법학과∙경제학과를 개설하다.
1957.11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진중리 소재 임야 491 정보를 매입하여 연습림을 확장하다.
1958.03.31
대학원에 석사학위과정 수학과∙물리학과∙화학과∙생물학과를 신설하다.
1958.05.15
과학관 3층 876.34평을 준공하다.
1958.12.30
대학본부 4층 2,260.3평을 준공하다.
1959.01.20
법정대학에 상학과(30)∙경영학과(30)을 신설하다.
1959.09.01
교육방송국(D.U.B.S)을 설치하다.